2020년 개봉한 영화 반도는 전작 부산행의 세계관을 확장한 속편으로, 좀비 바이러스가 한반도를 휩쓸고 난 뒤의 세상을 배경으로 한다. 부산행이 좀비 사태의 시작과 혼란 속 인간의 모습을 그렸다면, 반도는 바이러스 발생 4년 후, 폐허가 된 땅에서 살아남은 사람들과 잃어버린 것을 되찾기 위한 사람들의 선택을 보여준다. 좀비의 위협은 여전하지만, 그보다 더 무서운 존재는 인간 스스로일 수 있다는 메시지를 던지는 작품이다.
극 중 시간적 배경은 좀비 바이러스가 창궐한 후 세계가 한국을 고립시킨 지 4년이 지난 시점이다. 완전히 버려진 땅이 되어버린 ‘반도’는 국제 사회에서 철저히 차단된 지역이며, 외부인들에게는 죽음을 의미하는 곳으로 여겨진다. 이 영화는 생존, 절망, 희망, 그리고 인간성을 다시 찾아가는 여정을 통해 단순한 좀비 액션을 넘어선 서사를 펼쳐 보인다.
줄거리
주인공 정석은 과거 좀비 사태 당시 여동생과 조카를 잃고 가까스로 가족 일부와 함께 배를 타고 홍콩으로 탈출했으나, 그곳에서도 그는 환영받지 못하는 한국인 난민으로 살아간다. 죄책감과 무력감에 사로잡혀 살아가던 그에게 어느 날 거대한 제안이 들어온다. 바이러스가 퍼지기 전, 거액의 미화가 실린 트럭이 한국에 남아 있는데, 이를 회수해 오면 큰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이다.
정석은 돈을 벌기 위해 다시 폐허가 된 반도로 들어가고, 과거의 상처와 마주한다. 그와 함께 들어간 팀은 트럭을 찾아내는 데는 성공하지만, 작전은 곧 예상치 못한 일로 실패하게 된다. 정석은 무장 집단 631부대의 습격을 받고 흩어지게 되고, 그 와중에 민정이라는 생존자와 그녀의 두 딸에게 구조된다. 민정 가족은 좀비 떼와 인간 위협이 가득한 세상 속에서도 굳건히 서로를 지키며 살아남아 있었다.
한편, 631부대는 무정부 상태의 반도에서 자신들만의 질서를 만들고 폭력을 일삼고 있다. 이 부대가 좀비를 이용해 생존자들을 괴롭히고, 그 와중에 정석 일행이 쫓고 있던 트럭까지 손에 넣는다. 정석은 민정 가족과 힘을 합쳐 트럭을 되찾고, 모두 함께 반도를 탈출하기 위한 위험한 계획을 세운다. 좀비 떼와 인간의 광기, 시간의 압박 속에서 그들은 마지막 희망을 향해 질주하게 된다.
영화 특징: 액션과 감정, 그 사이에 서있는 반도
반도는 전작 부산행과는 결이 조금 다르다. 기차라는 밀폐된 공간에서 벌어졌던 부산행의 긴박함과 달리, 반도는 도시 전체를 무대로 하며 훨씬 넓은 공간에서의 전투와 추격전이 특징이다. 특히 CG 기술을 적극 활용한 자동차 추격신과 좀비와의 대규모 전투 장면은 한국 영화에서 보기 드문 스케일을 자랑하며 관객의 눈을 사로잡았다.
또한 영화는 단순히 좀비와의 싸움에서 그치지 않고,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 속 인간들의 변화를 통해 무너진 도덕성과 공동체를 이야기로 푼다. 특히 631부대는 살아남기 위해 인간성을 포기한 집단으로 묘사되며, 좀비보다 더 큰 위협이 된다. 반면 민정 가족처럼 끝까지 서로를 지키며 살아가는 사람들은 관객에게 따뜻한 감정을 전달한다.
강동원은 액션과 감정 연기를 모두 소화하며, 자신만의 컬러로 극 중 주인공 정석을 그려낸다. 그의 캐릭터는 처음에는 모든 것을 체념한 냉소적인 모습이지만, 민정 가족과의 관계를 통해 점점 변화하며 인간적인 모습을 되찾아간다. 이정현 역시 강단 있고 지혜로운 생존자로서 극의 중심을 잡아준다. 특히 두 어린 소녀 배우들의 연기와 활약도 인상적이며, 감정적으로도 큰 감명을 준다.
총평: 좀비 이후의 세계, 인간다움은 어디에 있는가
반도는 전형적인 좀비 영화의 틀을 따르면서도 그 안에 인간의 본성과 희망, 회복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바이러스 이후의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서로를 지키려는 사람들, 무너진 윤리 속에서도 인간다움을 잃지 않으려는 이들의 모습은 단순한 액션 이상의 감동을 준다.
물론 영화의 빠른 전개와 CG 중심의 연출, 다소 과장된 장면들은 호불호가 갈릴 수 있다. 전작 부산행과 비교해 감정선이 덜하다고 느낄 수도 있다. 그러나 반도는 ‘그 이후의 이야기’를 통해 세계관을 확장하고,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도전이다.
좀비, 액션, 드라마가 적절히 어우러진 반도는 한 번쯤 볼 만한 가치가 있는 작품이다. 무엇보다, 재난 상황에서도 인간성을 지켜낼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은 지금 우리의 현실에도 중요한 메시지를 던진다. 아직 이 영화를 보지 않았다면, 어두운 도시를 질주하는 그들의 마지막 탈출기를 관람해 보길 추천한다.